인도 전통 의상

 

➀  인도 여자 의상 사리(Saree)

 인도 여자는 복장법령에 따라 공적 활동 시 반드시 전통의상인 사리(Saree) 또는 사르와르 카미즈(Salwar Kameez)를 입어야 하며, 일반 대학에서도 여학생들에게 전통의상을 강요하는 사례가 있다.

 

 사리(Saree)는 지역에 따라 매는 방법, 천의 길이, 천의 개수가 다르다. 천을 허리에 감아 맨 다음 어깨에 걸쳐 밑으로 내려 입는다.

 사리는 아주 긴 직사각형의 천이 전부다. 단순한 형태의 천이 빚어내는 화려한, 그리고 다양한 '변주', ’ 거기에 사리의 경이로움이 있다.

 사리는 대체로 너비 120㎝, 길이 4~8m에 이르는 직물이다. 이 긴 천으로 몸을 휘감아 입는다. 상반신을 덮은 후 아래로는 치마나 바지의 형태로 둘러 입을 수 있다.

 지역, 계층, 종교적 배경에 따라 사리를 입는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본 방식, 북부 방식, 데칸(Deccan) 방식, 드라비다(Dravida) 방식, 어깨에 매듭을 짓는 방식, 투피스(Two Piece) 방식, 하프(Half Sari) 방식 등등.

 기록에 따르면 이처럼 사리를 두르는 방식은 80가지가 넘는다.

 

 사리의 길이와 너비는 지역 및 직물의 소재에 따라 달라진다. 비단이나 모슬린(Muslin) 같은 값비싼 직물로 짠 사리는 길이와 너비가 대체로 크다. 소작농이나 도시 하층민들이 입는 사리는 작게 만들어진다.

 

 면(특히 헤비 코튼(Heavy Cotton))으로 대량생산된 값싼 사리는 주로 소작농이나 도시 하층민들이 일하기 쉽도록 작게 만들어진다. 높은 계층의 여성들은 사리를 바닥까지 닿도록 입는 게 일반적이다. 발목이 드러난다는 건 가난한 노동자 계층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사리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유력하게 추정되는 사실은 고대 인도인들이 ‘바느질하지 않은’ 면직물을 온몸에 둘러 입었다는 것이다.

 

 인도 북부에서 발견된 한 테라코타(BC 200~BC 50년)에는 사리와 유사한 형태의 천을 두른 여성들의 모습이 재현돼 있다. 테라코타 속 여성들은 천을 몸에 꽉 끼게 둘러 입었으며 착용방식이 정교하게 나타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같은 방식이 고대 인도 사원의 무용수들 사이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한다. 당시 사회에서 기대하는 단정함을 갖추면서도 팔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입었다는 것이다. 인도 동부에서 출토된 테라코타(Terracotta, AD 300~AD 500년. 미국 브루클린 박물관 소장) 역시 온 몸에 긴 천을 두른 모습이 묘사돼 있다.

 

 고대 인도에서 여성에 대한 미의 기준은 잘록한 허리, 그리고 큰 가슴과 엉덩이로 추정된다. 사리가 허리 부분을 드러나게 하고 가슴과 엉덩이를 강조하는 데 이상적인 의상이라는 것이다.

 

 사리가 직사각형의 한 조각 천으로 만들어진 것은 힌두의 옛 전통에 따른 것이다. 옷감을 잘라내고 바느질하는 것을 불경스러운 행위로 본 것이다. 때문에 사리 형태의 천을 입은 후 한참이 지나서야 재단된 옷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리는 재단되지 않는 옷감이지만 고도로 정밀하게 직조된다. 사리는 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필드(Field), 세로면의 테두리(Longitudinal Borders), 가로면의 끝단(Endpiece) 세 부분으로 나뉜다. 필드 부분은 결혼식 예복 등으로 입을 때 외에는 전통적으로 많은 장식을 하지 않는다. 주로 세로면의 테두리에 장식이 집중된다. 씨실과 날실을 엮거나, 색깔을 입히거나, 자수를 넣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무척 정교하며 섬세한 작업이다.

 

 사리는 대체로 아래로는 속치마, 위로는 촐리(Choli)라는 상의 위에 둘러 입기도 한다. 촐리는 배와 가슴 사이 부분이 드러나는 꽉 죄는 옷으로 소매와 목이 짧다.

 

 사리는 인도 여성의 대표적인 전통의상이다. 결혼식 등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는 빠뜨리지 않고 입는 정장과 같은 옷이다.

 하지만 사리 외에도 인도의 색채를 강하게 느끼게 하는 전통의상들이 다양하다. 살와르 카미즈(Salwar Kameez), 그리고 레헹가 촐리(Lehenga choli)가 대표적이다. 언뜻 보면 분위기가 비슷해 사리와 혼동할 수도 있다.

 

 살와르 카미즈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과 북부 인도에서 즐겨 입던 옷이다. 살와르는 느슨하고 품이 넓은 바지로 발목 부분에서 좁아지는 특징이 있다. 카미즈는 허리 아래 또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긴 상의로 깃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움직이기 편하도록 양옆은 허리 아래를 따라 갈라져 있다. 사리가 격식을 갖춘 의상이라면 투피스로 이루어진 살와르 카미즈는 일상에서 편하게 입는 옷으로 볼 수 있다.

 

 레헹가 촐리 역시 투피스 의상이다. 가르가(Gharga)로도 불리는 레헹가는 자수 장식을 한, 통이 넓고 긴 주름치마로 촐리와 함께 입는다.

 

 인도에 가거나 인도 관련 사진을 접하면 전통의상을 입은 여성이 머리에서 흘러내린 얇고 긴 천을 한 팔로 멋스럽게 받쳐 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두파타(Dupatta)라는 스카프다. 두파타는 사리로 대표되는 인도 여성 의상에서 중요한 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이다. 머리, 어깨 등을 덮거나 휘감는 긴 두파타는 머리를 가리는 이슬람 전통과도 관련이 있다.

 

 사리의 다양한 착용방식은 목걸이, 팔찌 등 장신구와 두파타 등이 곁들여지면서 더욱 화려한 맵시를 뽐낸다. 현대에 들어 사리는 전통을 품으면서도 과감한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다. 살와르 카미즈나 레헹가 촐리의 간편함을 도입한 현대적인 사리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발리우드(Bollywood) 영화에 나오는 여성 배우들의 의상에서 현대화한 사리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

 

 펀자브(Punjab) 지방에서는 상의가 길고 바지가 넉넉한 사르와르 카미즈를 입는다.

 그리고 우타르 프라데시(Uttar Pradesh), 라자스탄(Rajasthan), 구자라트(Gujarat)에서는 가그라(ghaghra)라는 긴 치마를 입는다.

 

 

사리(Saree) 한 폭이 담은 드넓은 세계

 사리(Saree)의 색깔과 사리를 꾸미는 문양들은 미적 취향으로만 이루어지는 건 아니다.

 

 전통적으로 인도는 옷이나 장신구에 상징적 표현을 담았다. 아프리카의 줄루(Zulu) 부족이 구슬장식의 색깔과 문양으로 메시지를 전달한 것과 유사하다.

 

 인도 북부지역의 경우 여성은 아이를 낳은 후 일주일 동안 노란 사리를 입었다. 라자스탄(Rajasthan) 시골 여성들은 빨간 염색이 가미된 노란 베일을 써서 임신 중이라는 사실을, 또는 남자아이를 갖고 싶다는 희망을 암시하기도 한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사리의 디자인에 따라 특정한 뜻을 담는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대부분의 전통 사리의 장식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음흉한 시선과 불행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한다는 것. 또 하나는 비옥함을 기원하는 것이다.

 

 인도에서 색깔을 상징으로 사용한 것은 베다 시대(Vedic Age) 이전부터다. 산스크리트어로 카스트(Caste, 신분)에 해당하는 ‘바르나(Varna)’는 원래 뜻이 ‘색깔’이다. 그리고 몇몇 색깔들은 전통적으로 각각의 신분과 관련돼 있다. 현대에 이르러 아주 희석되긴 했지만 사리 역시 신분을 나타내는 색깔을 반영하고 있다.

 

 흰색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가장 높은 성직자 계급인 브라만(Brahman)을 암시한다. 브라만은 전통적으로 흰 옷을 입었으며 어떤 형태의 염색도 불순하게 여겼다. 자이나교의 백의파(白衣派, Svetambara) 신도들 역시 흰 옷을 입었다.

 

 오늘날 흰 옷은 대체로 힌두교의 예배(Puja) 등 특별한 의식이 있을 때만 입는다. 인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결혼식 때는 흰 옷을 입지 않는다. 흰색을 ‘애도’의 색깔로 보기 때문이다. 인도 북부에서 과부가 전통적으로 흰 사리를 입는 이유이기도 하다.

 

 빨간색은 크샤트리아(Kshatriya, 카스트에서 두 번째 지위인 왕족과 무사 계급)에 해당하는 색깔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인도 북부에서 불가촉천민을 제외한 모든 계급의 신부가 결혼식에서 주로 빨간 사리를 입는다. 결혼한 젊은 여성이 즐겨 입는 사리 또한 빨간색이다.

 

 빨간색은 감성적이고 성적(性的)이며 비옥한 느낌을 주는 상서로운 색깔로 여겨지는 것이다.

 

 녹색은 바이샤(Vaiśya, 카스트에서 세 번째 지위인 상인 계급)의 색깔이다. 오늘날에는 흔히 이슬람을 연상시키는 색깔이다. 데칸 고원의 일부 지역에서는 결혼식에서 신부가 녹색 사리를 입는다. 인도에서는 녹색이 노란색을 대신하는 색으로도 사용된다.

 

 파란색은 수드라(Sudra, 카스트 제도에서 가장 낮은 신분. 하인, 농부, 직물공 등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들)와 관련돼 있다. 높은 계층의 사람들은 파란색을 싫어한다. 쪽빛(Indigo)을 만들기 위한 발효 과정을 불순하게 보기 때문이다. 힌두 전통에서 파란색과 검정색은 슬픔, 불길한 징조를 반영하는 상서롭지 못한 색깔로 여겨졌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나이 든 기혼여성이나 과부들 상당수가 하얀 사리를 입던 전통에서 벗어나 약간 어두운 색조의 파란색 또는 검정색 사리도 흔히 입는다.

 

 노란색은 전통적으로 종교, 금욕을 상징한다. 사프란(Saffron)의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은 방랑하는 현자, 또는 자신의 계급과 가족을 포기하고 영적인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표현하는 색깔이다. 인도 동부에서 힌두교도의 결혼식에서 신부는 정화의 의미로 노란색 강황(Turmeric)으로 몸을 씻는다. 그리고 노란색 사리를 입는다. 노란색은 일반적으로 상서로운 색으로 받아들여 지며 지금도 종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 승려들이 오렌지색 승복을 입는 것은 이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색깔을 정서적, 영적 상태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한 사례는 옛 그림과 연극에서도 발견된다. 인도에서 색깔의 사용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BC 2000년경 인더스 문명의 유적인 모헨조다로(Mohenjo Daro)에서 주황색 물감을 만들 수 있는 꼭두서니(Madder)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 베다 시대부터 홍화(Safflower), 꼭두서니, 강황 등을 사용해서 염색하는 기술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염색 방식과 색깔들이 더 늘어나게 됐다.

 

 색깔과 함께 다이아몬드, 톱니 모양, V자, 체크 등 작은 기하학적 문양들이 사리에 직조됐다. 이 문양들은 아주 작게 반복적으로 꾸며졌다. 이 작은 문양들은 자연의 속성에서 차용했다.

 

 많은 사리들의 세로면 테두리와 가로면 끝단의 안쪽 가장자리는 꽃망울 같은 ‘잘라(Jhaalar)’라는 문양이 즐겨 쓰인다. 인도의 목걸이 등 구슬이 길게 이어진 형태가 ‘재스민 꽃망울’로 불리기도 하는데 사리를 장식하는 ‘잘라’ 문양과 비슷하다.

 

 씨앗 모양도 즐겨 장식한다. 체크 문양은 렌즈콩(Lentil) 씨앗, ‘지라(Jeera)’로 불리는 작은 대시(- Dash) 문양은 커민 씨(Cumin Seed)6) 형태를 흉내 낸 것이다. 실제로 커민 씨는 대시처럼 가늘고 길게 생겼다.

 

 굽이치는 포도나무 덩굴 모양도 즐겨 장식되는데 생명력을 상징하는 것이다. 신과 모든 살아 있는 것들, 즉 사람과 동물과 식물을 이어준다는 무척 상서로운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인도인들은 포도나무 덩굴이 소원을 들어준다고 믿는다. 이 믿음은 ‘소원 성취의 포도나무’라는 말을 낳기도 했다.

 

 국화, 연꽃, 재스민 꽃, 질경이 꽃 역시 사리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문양이다. 꽃은 힌두에서도 불교에서도 중요시됐다. 힌두 전통에서는 꽃이 행운, 건강, 그리고 번영을 암시한다.

 

 특히 연꽃은 창조, 우주, 다산, 번영, 풍요, 영원 등 아주 크고 상서로운 기운을 느끼게 하는 상징이다.

 

 동물 문양들이 함축한 상징을 통해서도 인도인들의 전통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거위의 의미가 흥미롭다. 불교에서는 거위 등 물가에서 사는 새들을 영적 순수성의 상징으로 봤다. 거위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해 떠돌아다니는 승려를 암시했다. 거위가 수면을 박차고 하늘로 날아오르는 몸짓에서 영적 깨달음과 그 깨달음을 전파하기 위해 떠나는 모습을 연상한 것이다.

 

 코끼리는 물, 비옥함, 충성심, 왕권을 나타내는 상서로운 동물로 대접받는다. 힌두교에서 장애물을 없애주고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신 가네샤(Ganesa)의 형상이 코끼리이기도 하다.

 

 인도 여성의 몸을 두른 한 폭의 사리에 방대한 세계가 담겨 있는 것이다. 오랜 전통과 드넓은 자연과 힌두의 수많은 신과 신화, 그리고 부처님의 가르침까지.

 

 

 

인도 남자 의상

 인도 남자의 고유의상으로는 도티(Dhoti), 룽기(Lungi), 아즈칸(Achkan), 파자마(Pajamas) 등이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하절기(4월~11월)에 사파리(Safari)를 주로 입는다.

 

 도티(Dhoti)는 동부· 남부지방에서 많이 입는데, 긴 천을 밑으로 늘어뜨린 후 다시 허리춤으로 올려 동여 입는다. 흰색의 얇은 천으로 만든다.

 

 룽기(Lungi)는 케랄라(Kerala) 등 해안지방에서 많이 입는데, 좁은 폭의 천을 늘어뜨린 후 허리를 동여 입는다.

 

 아즈칸(Achkan)은 네루(Nehru) 전 총리가 즐겨 입었던 목이 올라온 제복 스타일의 옷이다.

 

 파자마(Pajamas)는 우타르 프라데시(Uttar Pradesh) 주에서는 무릎 아랫부분이 꼭 끼는 추리다(Churidar) 파자마를 입으며, 펀자브(Punjab) 지방에서는 헐거운 쿠르타(Kurta)를 즐겨 입는다. 파자마는 주로 흰색 천으로 만든다.

 

 사파리(Safari)는 하절기에 많은 도시인들이 즐겨 입는데, 공식적인 모임에서는 점차 양복과 넥타이 차림이 조금씩 늘어가는 추세이다.

 

 

 

스타투어(Star Tour)

☎:(02)723-6360

http://www.startour.pe.kr

블로그 : 스타투어

E-mail: startour2@naver.com